본문 바로가기

연당 자료방

(37)
자료집 2020-08-19 14:08:16모아 보았어요 미전 상장 한장은 없어졌네요. 공무원 초대작가 오랜만이다. 그동안 게으름은 피운 탓이다.이젠 제도가 바꾸게 되어 더 어렵겠다.
중국에서 사용되는 간자체 2014-02-14 19:12:10
[스크랩] 해남 대흥사 대웅보전(大雄寶殿) / 원교 이광사 2013-12-19 19:18:32 해남 대흥사 대웅보전(大雄寶殿) / 원교 이광사해남 대둔산 대흥사에는 서예인들의 발길이 잦다. 산세가 아름다운 것도 있지만 서예인들의 큰 스승으로 추앙받고 있는 원교 이광사의 묵적을 만날 수 있어서다. 한자로 씌여진 이 곳의 편액 대웅보전(大雄寶殿)은 원교 이광사가 쓴 동국진체 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원교의 묵적은 이 곳 말고도 광주ㆍ전남지역에서 상당수 발견된다. 남도는 한국 서단에서 조선풍의 서체인 '동국진체'를 꽃피운 서예의 고장이다. 이같은 화려한 전통을 갖고 있는 남도서 단은 여기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는 실험성으로 전통과 현대 서예를 아우르는 '현대서예의 메카'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18세기 영ㆍ정조시대 조선조 특색을 잘 담아낸 '동국진체'는 옥동 이서와 ..
臨河而羨魚, 不如歸家結網 2012-12-11 13:26:06臨河而羨魚, 不如歸家結網(임하이선어, 불여귀가결망) '물가에서 고기를 부러워하는 것보다는 그물을 짜는 것이 낫다'라는 뜻으로, 헛된 욕심을 부리는 것보다는 그것을 이루기 위하여 실천하는 것이 유익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회남자(淮南子)》 등에서 유래되었다. 臨:임할 림 河:물 하 羨:부러워할 선,넓은 이 如:같을 여 結:맺을 결 網:그물 망 줄여서 임하선어 또는 임연선어(臨淵羨魚), 임천선어(臨川羨魚)라고도 한다.
借鷄騎還(차계기환) 2012-09-11 13:07:04 借鷄騎還(차계기환) 金先生者는 善談笑라. 嘗訪友人家러니 主人이 設酌에 선담소 상방우인가 설작 只佐蔬菜하고 先謝曰 : "家貧市遠하여 絶無兼味요 惟淡泊하니 是愧耳로다." 지좌소채 선사왈 가빈시원 절무겸미 유담박 시괴이 適有群鷄하여 亂啄庭除이어늘 적유군계 난탁정제 金曰 : "大丈夫는 不惜千金하나니 當斬吾馬하여 佐酒하리라." 불석천금 당참오마 좌주 主人曰 ; " 斬一馬면 騎何物而還 고?" 金曰 : " 借鷄騎還하리라." 하니 참일마 기하물이환 차계기환 主人이 大笑하고 殺鷄餉之 하더라. 대소 살계향지 김 선생은 우수갯소리(談笑: 담소)를 잘했다. 일찍이 친구 집을 방문했더니, 주인이 술상을 마련하였는데, 단지 채소만 안주로 하고 먼저 사과하여 말하였다. "집이 가난하고 시장이 멀..
[스크랩] 대한민국안에 대한민국이 있는 독도 2012-08-20 13:02:46독도는 서기 512년부터 우리영토.. 독도가 우리땅인지에 대한 상세한 역사적 자료
하일즉사(夏日卽事) 2012-07-25 12:35:04 하일즉사(夏日卽事) - 이 규 보 輕衫小簟 臥風欞(경삼소점 와풍령) - 홑적삼에 대자리 깔고 바람 통하는 격자창에 누웠다가 夢斷啼鶯 三兩聲(몽단제앵 삼량성) - 꾀꼬리 울음소리 두세 마디에 꿈이 달아났다. 密葉翳花 春後在(밀엽예화 춘후재) - 짙은 잎에 가려진 꽃이 봄이 지나도 남아 있는데 薄雲漏日 雨中明(박운누일우중명) - 엷은 구름에 새는 햇살이 비 내리는 가운데 밝다. * 小簟(소점) ; 작은 대 風欞(풍령) ; 바람이 잘 통하도록 격자를 대어 만든 격자창) 翳花(예화) ; 숨어있는 꽃, 가리워진 꽃 漏日(누일) : 새는 햇빛 雨中明(우중명) ; 비가 내리는 가운데 햇빛이 나와 밝음 ** 李奎報이규보(1168~1241) : 고려 고종 때의 시인이며 문장가이다. 본..
연꽃 구경(賞蓮) 2012-07-12 13:07:42 1일에 시흥 관곡지 연꽃 구경을 가기로 했기에....... 연꽃 구경(賞蓮) -곽예(郭預,1232-1286)- 賞蓮三度 到三池(상련삼도 도삼지) 세 번이나 연꽃 보러 삼지를 찾으니 翠蓋紅粧 似舊時(취개홍장 사구시) 푸른 잎 붉은 꽃은 예전과 다름없네. 唯有看花 玉堂客(유유간화 옥당객) 오직 꽃을 바라보는 옥당의 손님만이 風情不減 鬢如絲(풍정불감 빈여사) 마음은 그대론데 머리털만 희어졌구려. 賞(완상할 상, 즐길 상), 度(번 도) 翠(비취색 취) 蓋(덮개 개) 翠蓋(취개 : 푸른 연잎) 紅(붉은꽃 홍) 粧(단장할 장) 紅粧(홍장 : 붉은꽃으로 단장함) 玉堂(옥당 : 고려 홍문관의 별칭, 홍문관의 부제학 이하 실무관원의 총칭) 風情(풍정 : 풍치, 모습) 減(덜 감) (..